본문 바로가기
  • 세로 serobooks

분류 전체보기155

[충남도서관] 식물 심고 그림책 읽으며 아이들과 열두 달 _ 저자 강연 충남도서관에서 저자 이태용 선생님 초청 강연이 있습니다. 벌써 신청인원 30명은 다 찼고, 대기자가 5명이네요. 그래도 대기 가능할 수 있으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충남도서관에 문의해 주세요. >> 도서관 신청 페이지 링크 충남도서관 > 신청 > 강좌/행사 신청 > 강좌/행사 신청 (chungnam.go.kr) 충남도서관 충남도서관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library.chungnam.go.kr 2022. 8. 8.
최무영 (그렇게 물리학자가 되었다) 최무영 『그렇게 물리학자가 되었다』 저자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 통계물리 전공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이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겸무 교수. 서울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미국 스탠퍼드대학교에서 통계물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동안 포항공과대학교, 고등과학원, 미국 워싱턴대학교와 오하이오주립대학교, 로스앨러모스국립연구소, 프랑스 앙리푸앵카레대학교와 국립과학연구원(CNRS)을 비롯한 여러 대학과 연구소에서 객원·초빙교수나 객원연구원으로 일하였다. 국제학술지에 260여 편의 연구논문을 발표했으며 2000년 한국물리학회 학술상, 2002년 한국과학상, 2019년 암곡학술상을 받았다. 저서 『복잡한 낮은 차원계의 물리』, 『최무영 교수의 물리학 강의』, 『최무영 교수의 물리학 이야기』 등.. 2022. 7. 21.
라그랑주 지점과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 현재 지구에서 약 150킬로미터 떨어진 라그랑주 지점 L2를 중심으로 타원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라그랑주 지점은 무엇일까요? 다섯 개의 라그랑주 지점 중 L2는 어떤 곳일까요? 에 라그랑주 지점에 관한 설명이 있습니다. 바로 아래 그림입니다. 위 그림과 글은 목성 궤도에 대한 설명이지만 목성 대신 지구로 바꾸어도 원리는 같습니다. 그림에서 목성 자리에 있는 것이 지구라면, 제임스웹 망원경은 L2 지점으로 발사되었습니다. 설명 글에서 보듯 L4와 L5는 안정된 지점으로 물체들(작은 운석 같은 것들)이 모여 있습니다. 목성의 경우 '그리스 군단'과 '트로이 군단'이 있지요. 그렇기 때문에 이곳으로 망원경을 올려 놓으면 운석과 망원경이 충돌할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L1과 L3는 태양.. 2022. 7. 18.
정명화 (그렇게 물리학자가 되었다) 정명화 『그렇게 물리학자가 되었다』 저자 서강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응집물질물리 실험 성균관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일본 히로시마대학교에서 물성물리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실험물리학자다. 미국 로스앨러모스국립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서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지금까지 약 300여 편의 SCI 논문을 게재했고, 2018년 한국자기학회 혜슬선도과학자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선정 ‘2019년 올해의 기초연구자’, 2021년 한국물리학회 학술상 등을 수상했다. 중요한 물리적 특성은 대부분 저온에서 발현된다. 검출하기 어려울 정도로 소량의 불순물이나 결정성의 결함 등과 같은 외재적인 영향에 의한 물성도 저온에서 극대화된다. 따라서, 고순도 단결정을 만드는 일은 고체물리학 연구에서 매.. 2022. 7. 7.
오정근 (그렇게 물리학자가 되었다) 오정근 『그렇게 물리학자가 되었다』 저자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중력이론, 중력파 데이터분석 서강대학교 물리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중력이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9년부터 라이고-비르고-카그라 과학협력단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카그라 연구단의 논문출판위원회와 저자선별위원회 위원, 한국물리학회 실무이사, 한국고에너지물리학회 부회장, 한국중력파연구협력단 총무간사를 역임했다. 중력이론, 중력파데이터분석, 라이고-비르고-카그라 중력파연구단에서 약 190여 편의 논문을 출간했으며, 라이고 과학협력단과 함께 2017년 브레이크스루 기초물리학 특별상을 수상했다. 저서 『중력파, 아인슈타인의 마지막 선물』로 제57회 한국출판문화상을 수상했다. 실험 시설의 규모가 거대화되고, 많은 인력과 비용을 소요하.. 2022. 7. 7.
김현철 (그렇게 물리학자가 되었다) 김현철 『그렇게 물리학자가 되었다』 저자 인하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인하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독일 본대학교에서 핵자들 사이의 상호작용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이론물리학자다. 원래 시인이 되고 싶었지만, 어쩌다 시작한 물리학이 시만큼이나 매력적이라는 걸 깨닫고는 평생 물리학을 하기로 마음먹었다. 독일의 보훔대학교, 미국의 코네티컷대학교, 일본의 오사카대학교와 이화학연구소, 원자력연구센터의 고등과학연구소에서 연구했고, 양성자의 구조, 펜타쿼크처럼 별난 강입자, 무거운 쿼크가 들어 있는 강입자, 강입자의 토모그래피와 생성 과정, 비섭동 양자색역학의 응용에 관해 180여 편의 논문을 썼다. 저서 『강력의 탄생』이 있다. 시만이 지닐 수 있는 단 한 줄의 감동과 물리학에서 단 하나의 식으로 표현된 우주.. 2022. 7.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