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세로 serobooks

저자 소개17

배지은 _ 신사와 그의 악마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의 삶과 현대 물리학의 시작) 배지은『신사와 그의 악마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의 삶과 현대 물리학의 시작)』옮긴이 서강대학교 물리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한동안 휴대전화를 만드는 엔지니어로 일했다. 이후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에서 번역학을 전공하고 과학책과 소설을 번역하고 있다. 『프린키피아』, 『물리학은 어디까지 설명할 수 있는가』, 『우리 우주의 첫 순간』, 『물질의 탐구』, 『입자 동물원』, 『호킹의 빅 퀘스천에 대한 간결한 대답』, 『수학의 함정』, 『인형의 주인』, 『열흘간의 불가사의』, 『꼬리 많은 고양이』, 『무니의 희귀본과 중고책 서점』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방정식이나 상수의 이름 앞에 형용사로만 남은 과학자를 이 땅 위에 살았던 같은 인간으로서 만나 보는 건 언제나 흥미로운 일이다. 이 책이 그려 낸 맥스웰.. 2024. 11. 21.
김근배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_ 한국 과학기술 인물열전: 자연과학 편) 김근배『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한국 과학기술 인물열전: 자연과학 편)』편저자전북대학교 과학학과 교수이며 전북대 한국과학기술인물 아카이브를 책임지고 있다. 서울대학교 미생물학과를 거쳐 같은 대학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고, 미국 존스홉킨스대학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냈다. 한국과학사학회 회장과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 후보자 심사위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운영자문위원, 유엔 세계기초과학의해 한국추진위원을 역임했다. 근현대 한국의 과학과 과학자, 남북한 과학 비교사를 연구해 오고 있으며, 한국과학사학회 논문상과 국립중앙과학관장상, 과학기술훈장 진보장 등을 수상했다. 저서로 『근현대 한국사회의 과학』(공편), 『한국 근대 과학기술인력의 출현』, 『한국 과학기술 인물 12인』(공저), 『황.. 2024. 5. 10.
이은경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_ 한국 과학기술 인물열전: 자연과학 편) 이은경『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한국 과학기술 인물열전: 자연과학 편)』편저자전북대학교 과학학과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마치고 같은 대학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과학기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을 지냈으며 과학기술정책, 과학기술과 젠더, 과학기술문화의 여러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서울신문에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이은경의 유레카〉를 연재했고, 2022년부터 〈이은경의 과학산책〉을 연재 중이다. 저서에 『한국의 과학기술과 시민사회』, 공저에 『과학기술과 사회』, 『근대 엔지니어의 탄생』, 『근대 엔지니어의 성장』, 『사회·기술시스템 전환』 등이 있다.. 권영대, 리림학, 조순탁, 권경환, 이휘소, 이상수 편을 대표 집필했다."어릴 때 위인전집을 읽으.. 2024. 5. 10.
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_ 한국 과학기술 인물열전: 자연과학 편) 선유정『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한국 과학기술 인물열전: 자연과학 편)』편저자전북대학교 과학문화연구센터 학술연구교수이다. 전북대학교 과학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근현대 한국 과학기술사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일한문화교류기금의 지원을 받아 교토대학 농사(農史)교실에서 외국인연구원으로 활동했으며, 2008년 대한민국과학기술연차대회 논문우수상과 2021년 한국과학사학회 논문상을 수상했다. 근현대 한국 과학기술자, 한국과 일본의 여성과학자 비교, 일제강점기 제국대학 등을 연구하고 있으며, 이에 관한 여러 편의 논문을 썼다. 공저로 『과학, 인문으로 탐구하다』가 있다. 국채표, 김삼순, 박정기, 박세희 편을 대표 집필했다."도쿄여고사에 입학한 1928년에 김삼순은 당시로서는 결혼 적령기를 넘긴 20세.. 2024. 5. 10.
김찬주 (나의 시간은 너의 시간과 같지 않다 _김찬주 교수의 고독한 물리학: 특수 상대성 이론) 김찬주 『나의 시간은 너의 시간과 같지 않다 _김찬주 교수의 고독한 물리학: 특수 상대성 이론』 저자 이화여자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물리학과에서 입자물리학 이론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양자장론의 여러 주제를 연구하고 있으며, 2006년 한국물리학회의 ‘백천물리학상’을 수상했다. 2012년에는 그의 강의가 SBS,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교육개발원이 10년간 선정하는 ‘대학 100대 좋은 강의’의 첫 다섯 강의 중 하나로 꼽혔다. 2015년부터 K-MOOC에서 ‘현대물리학과 인간사고의 변혁’이라는 교양 물리학 과목을 강의하고 있으며, K-MOOC 강의 수강자 만족도 1위로 뽑히기도 했다. 현재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에 ‘물리학으로 세상을 보는 경이로움’을 연재 중이다. 저서로는 『어느 물.. 2023. 10. 26.
최무영 (그렇게 물리학자가 되었다) 최무영 『그렇게 물리학자가 되었다』 저자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 통계물리 전공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이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겸무 교수. 서울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미국 스탠퍼드대학교에서 통계물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동안 포항공과대학교, 고등과학원, 미국 워싱턴대학교와 오하이오주립대학교, 로스앨러모스국립연구소, 프랑스 앙리푸앵카레대학교와 국립과학연구원(CNRS)을 비롯한 여러 대학과 연구소에서 객원·초빙교수나 객원연구원으로 일하였다. 국제학술지에 260여 편의 연구논문을 발표했으며 2000년 한국물리학회 학술상, 2002년 한국과학상, 2019년 암곡학술상을 받았다. 저서 『복잡한 낮은 차원계의 물리』, 『최무영 교수의 물리학 강의』, 『최무영 교수의 물리학 이야기』 등.. 2022. 7.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