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한국 과학기술 인물열전: 자연과학 편)』편저자
전북대학교 과학문화연구센터 학술연구교수이다. 전북대학교 과학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근현대 한국 과학기술사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일한문화교류기금의 지원을 받아 교토대학 농사(農史)교실에서 외국인연구원으로 활동했으며, 2008년 대한민국과학기술연차대회 논문우수상과 2021년 한국과학사학회 논문상을 수상했다. 근현대 한국 과학기술자, 한국과 일본의 여성과학자 비교, 일제강점기 제국대학 등을 연구하고 있으며, 이에 관한 여러 편의 논문을 썼다. 공저로 『과학, 인문으로 탐구하다』가 있다.
국채표, 김삼순, 박정기, 박세희 편을 대표 집필했다.
"도쿄여고사에 입학한 1928년에 김삼순은 당시로서는 결혼 적령기를 넘긴 20세였다. 하지만 도쿄여고사는 기혼자의 재학을 허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혼인은 생각조차 할 수 없었다. 학생 신문으로 남자를 만나는 것을 엄격히 규제하여 '50세 이하의 남성과는 나란히 걷지 말것'이라는 내부 지침까지 있을 정도였다. ... 따라서 김삼순에게 도쿄여고사로의 진학은 조선에서 일본으로 물리적인 삶의 공간이 달라지는 것일 뿐만 아니라, 조혼과 같은 전통사회의 결혼 관습에서도 벗어나는 것을 의미했다."(김삼순 편에서)
"수업 첫 시간에 학생들에게 생각하는 한국 과학자 이름을 말해 보라고 합니다. 그럼 장영실, 우장춘, 그리고 가끔 이휘소 이름이 나오죠. 그리곤 없어요. 반면 외국 과학자 이름은 제가 끊지 않는 한 계속 나와요. 한국 과학자 이름을 10명 정도는 말할 수 있게 되는 것이 일차 목표입니다."
'저자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근배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_ 한국 과학기술 인물열전: 자연과학 편) (0) | 2024.05.10 |
---|---|
이은경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_ 한국 과학기술 인물열전: 자연과학 편) (0) | 2024.05.10 |
김찬주 (나의 시간은 너의 시간과 같지 않다 _김찬주 교수의 고독한 물리학: 특수 상대성 이론) (0) | 2023.10.26 |
최무영 (그렇게 물리학자가 되었다) (0) | 2022.07.21 |
정명화 (그렇게 물리학자가 되었다) (0) | 2022.07.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