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에 신간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출간 소식이 실렸습니다. 과학자 정두현과 김삼순의 이야기를 소개하면서 시리즈 출간 계획도 밝혀 주셨어요.
"정두현, 김삼순의 이야기는 최근 출간된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에 실린 내용이다. 책에는 이들의 삶뿐 아니라 한국의 첫 수학자인 이춘호(1893~1950), 스타 과학자로 인하공대 초대 학장을 지낸 이원철(1896~1963), 지난달 별세한 위상수학 권위자 권경환(1929~2024) 등 자연과학 분야 인물 30명의 삶이 담겼다.
전북대 과학학과 김근배·이은경·선유정 교수가 이들의 삶을 복원해 냈다. 김 교수 등은 15년 전부터 '한국 과학기술 인물열전' 작업을 시작했는데, 이 책은 그들의 첫 결실이다. '한국 과학기술 인물열전'은 근현대에 명멸했던 한국 과학자들의 이야기를 담은 열전 형식의 책이다. 모두 6권으로 구성됐으며 첫 권인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은 자연과학 분야 인물을 소개한다."
>>>연합뉴스 기사 전문
손자 볼 나이에 의대 진학한 정두현, 57세에 박사학위 딴 김삼순 | 연합뉴스 (yna.co.kr)
손자 볼 나이에 의대 진학한 정두현, 57세에 박사학위 딴 김삼순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송광호 기자 = 과학자 정두현(1887~미상)은 특이한 이력의 소유자였다. 처음엔 농학자로 출발했다. 1911년 도쿄제대 농학...
www.yna.co.kr
부산일보 박종호 기자님도 신간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출간 소식과 책에 담긴 과학자 이야기를 상세히 소개해 주셨습니다.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이란 제목이 인상적이다. 그동안 한국에 과학자가 없지 않았지만, 그렇다고 바로 이름이 떠오르는 과학자가 없는 것도 사실이다. 우리가 몰라서 그렇지 한국에도 감동을 주는 탁월한 과학자들이 있었다. 어려운 시대 상황에서도 미지의 과학 세계에 도전하고 그 길을 개척한 과학자들이 있었기에 오늘날의 한국이 있다. 전북대 김근배 교수를 비롯한 연구자들이 15년간의 연구를 통해 역사 속에 묻혀 있던 근현대 과학인들의 삶을 발굴해 냈다. 초창기 자연과학자 30명의 이야기, 어쩌면 그렇게도 영화 같은지 모르겠다."
>>> 부산일보 기사 전문
“신화가 된 과학자 이휘소, 핵개발 의혹 사망설은 소설” - 부산일보 (busan.com)
“신화가 된 과학자 이휘소, 핵개발 의혹 사망설은 소설”
이휘소와 1979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스티븐 와인버그가 대화를 나누고 있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 과학기술유공자지원센터 제공 &l...
www.busan.com
교수신문에도 책 소개가 실렸어요.
>>> 교수신문 기사 전문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 교수신문 (kyosu.net)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 교수신문
“한국 현대사는 산업화, 민주화와 함께 치열한 과학화의 과정이었다”우리 역사의 잃어버린 고리, 근현대 한국 과학자 이야기★전북대 과학학과 김근배 교수를 비롯한 연구자들의 15년 연구 ..
www.kyosu.net
'세상 속 세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수신문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김근배 교수님 인터뷰 기사 (0) | 2024.05.20 |
---|---|
언론사 주목 신간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국민일보, 조선일보, 한국일보, 문화일보, 세계일보...) (0) | 2024.04.29 |
윤고은의 EBS 북카페: 김찬주 작가님 <나의 시간은 너의 시간과 같지 않다> (0) | 2024.02.25 |
[K-Book Trends] 나의 시간은 너의 시간과 같지 않다My Time Does Not Flow Like Yours (0) | 2023.12.04 |
제7회 세계인문학포럼 _ 전시 도서 <태양계가 200쪽의 책이라면> (0) | 2023.11.08 |
댓글